본문 바로가기
스타트업(StartUp)

벤처캐피털은 어떻게 돈을 벌까.

by 애송이식물집사 2023. 7. 13.



보통 VC는 창업투자조합, 벤처투자조합을 만들어서 운용을 하는데요. 규모는 평균 한 200억에서 500억 정도가 되고, 펀드 기간은 5년에서 8년 사이가 많아요. 그 기간 동안 다 투자를 하지는 않아요. 한 3~4년에 걸쳐서 투자하고 나머지 3~4년은 투자라기보다 소진을 다하고 회수하는 기간이예요. 다 회수하지 못한 것들에 대해서는 세컨더리에 넘길 지 등 검토를 합니다. 창업자들은 이 투자 기간을 잘 고려해서 투자자가 엑시트(Exit, 투자 회수)할 수 있는 플랜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. 아무리 기술력이 좋다해도 “회수 기간이 10년 걸린다”라고 말하면 “현재 펀드로는 투자하기 어렵다”는 답변을 듣는 경우가 더 많을겁니다. 그래서 투자사하고 커뮤니케이션 할 때 그 VC가 어떤 목적의 펀드를 가지고 있는지, 투자 주목적은 무엇인지, 투자할 펀드 룸이 있는지 등을 살펴보셔야 해요. 그런 커뮤니케이션을 먼저 해야 서로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.

 

 

앞서 말했듯이 VC펀드는 LP라고 하는 기관들로부터 자금을 끌어와서 나중에 투자 수익이 나면 배당을 하는 구조입니다.

여기서 VC가 어떻게 수익 구조를 가져가는지도 알아두시면 참고사항이 될겁니다. VC의 주 수익원은 관리 보수와 성과 보수입니다. VC 펀드를 만들게 되면 조합의 평균 2% 정도를 연 관리 보수로 받습니다. 100억 원 규모 펀드면 2억 원 정도겠죠. 그걸 매년 받아서 사무실도 운영하고 인력도 뽑아요. 그리고 나중에 청산하는 시점에서 성과 보수를 산정해요. 예를들어 200억을 넣어서 나중에 400억이 됐다면, 그 수익률에 따라 나눠요. 요구 수익률(IRR)은 6~8%정도 되는데, 통상 복리로 6%에 맞추고 초과하는 수익에 대해서 20%를 성과 보수로 가져갑니다. 앞단에서의 관리 보수나 이런 것들을 다 비용으로 공제하고 초과한 이익에 대해서 성과 보수를 받는 겁니다. 이런 구조로 VC는 운영됩니다.

 

 

원문: https://platum.kr/archives/169581

'스타트업(StartUp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비용을 줄이자!  (0) 2023.07.17
스타트업이 챙겨야할 지적 재산  (0) 2023.07.17
어플리케이션은 어디서 테스트 해볼수 있을까?  (0) 2023.07.17
2023 창업지원 사업  (0) 2023.07.14
Books Reading  (0) 2023.07.13